본문 바로가기
히치하이커 개발

구글 SEO 최적화 단계별 적용 - 1단계

by 헬보이 2022. 10. 18.
반응형

검색엔진최적화(SEO) 이해하기

티스토리 등의 블로그를 운영하는 목적은 다양할 수 있다. 개인의 만족, 상업적 이익 등 다양한 목적에 맞춰서 블로그가 운영되지만 누구나 공통적으로 희망하는 건 내가 작성한 블로그가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걸 거다.

블로그가 사랑받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건 내가 작성한 글을 많은 사람들이 보는 거다. 포털의 표현을 빌리자면 노출이 많이 되고 검색한 사람들로부터 클릭을 받아야 블로그가 더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을 수 있다. 

 

내가 쓴 글이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려면 각 포털이 내가 쓴 글을 더 많이 쉽게 가져갈 수 있도록 제공해주면 된다. 회사일을 해도 나에게 필요한 정보만 쏙쏙 잘 정리해주는 담당자와 계속 일하고 싶어 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 포털이 가져가기 쉽게 잘 정리된 글을 작성하는 블로그의 글은 더 많이 포털에 노출되고 더 쉽게 상위로 올라가게 된다. 그러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각 포털에 잘 가져갈 수 있도록 읽기 편하게 글을 최적화하는 걸 검색엔진 최적화라고 한다.

 

 

1. 구글 SEO 가 뭔가요?

구글에서 인터넷에 올라와있는 다양한 사이트의 글을 읽어갈 때 어떤 방식으로 최적화되어 있는지를 따지는데 이때 사용하는 최적화 기준을 구글 SEO라고 보면 됩니다.

구글 개발자 센터에 보면 효과적인 구글 SEO 작성법을 제공해주고 많은 개발자들에게 가급적 사이트를 만들 때 자신들의 SEO에 맞춰서 제작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그래야 더 쉽게 빠르게 읽어갈 수 있으니까.

 

2. 구글이 내 사이트를 인지하고 있는가?

구글이 내 사이트를 인지하고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해야 할 일이 구분된다. 

우선 구글 검색창에 "site:내 사이트 유알엘"로 검색해 봤을 때 내 사이트가 보인다면 구글이 내 사이트의 존재 여부는 알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만약 위와 같이 검색했는데 검색 결과가 없다면 구글이 아직 내 사이트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보면 된다. 구글이 웹페이지를 인지하면 본인들의 색인에 추가하고 이 색인을 기반으로 검색 이용자들에게 사이트 정보를 제공한다. 

 

구글이 아직 내 사이트를 인지하지 못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구글에서 내 사이트가 검색 안 되는 이유

  • 사이트가 개설된 지 얼마 안 되어 구글이 아직 크롤링하지 않은 경우
  • 구글이 크롤링하다가 사이트 오류 등의 이유로 크롤링이 안된 경우
  • 사이트의 정책으로 크롤링이 차단된 경우

크롤링이 아직 안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1~2일 정도 기다리면 해결되는 문제이고, 사이트의 정책 즉 robots.txt의 설정으로 구글 봇의 활동을 막은 경우에는 크롤링이 안될 수도 있다. 이는 robots.txt의 설정을 변경해주어야 하는데 티스토리로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robots를 막을 일이 없으니 이것도 설명을 패스하겠다. 

다만 오류로 크롤링이 안된 경우에는 오류의 이유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때는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에 내 사이트를 등록해서 검색될 수 있도록 세팅하고 sitemap을 업로드해서 구글이 내 사이트를 잘 읽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면 구글 봇의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다. https://search.google.com/

 

용어해설

크롤링 - 사이트맵을 읽거나 다른 여러 방법으로 웹페이지를 찾고 읽어 들이는 프로세스 전반을 의미함
구글 봇 Googlebot - 구글에서 인터넷에서 웹페이지를 읽어 들이고 저장하도록 풀어놓은 인터넷 웹페이지 수집 프로그램
색인 - 구글이 수집하는 웹페이지의 콘텐츠 및 url 등을 명시한 구글의 페이지 요약 정보

 

3. 구글이 잘 검색되게 하려면?

구글이 잘 찾을 수 있도록 사이트를 구성하고 구글이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구성해야 합니다. 

 

구글이 잘 찾을 수 있는 방법은?

  • 콘텐츠 안에 같은 사이트 내의 다른 페이지 정보를 연결 - 연결할 때는 a 태그의 href 속성 사용
  • 사이트맵 파일 or 페이지 제공
  • 페이지 내 적절한 수준의 링크 제공

위의 세 가지 정도가 선행되어야 구글이 내 사이트의 웹페이지를 잘 찾을 수 있다. 

사이트맵의 등록과 검색 봇 노출을 위해 구글 서치 콘솔의 활용을 적극 추천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확인했을 때 아직 사이트 내 웹페이지 전체가 크롤링 전이라면 사이트맵을 등록해서 크롤링을 서둘러 달라고 재촉할 수도 있다. 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docs/crawling-indexing/ask-google-to-recrawl?hl=ko

 

 

구글/방문자가 이해할 수 있는 글 작성

  • 사이트 방문자가 검색한 키워드가 실제 웹페이지에 사용되어야 함 - 제목에 노출된 단어와 연관된 글이어야 함
  • <title> 이 구체적인가?-제목은 콘텐츠를 대표해야 한다. 
  • 사이트 구성이 계층 구조로 되어 있는가? 
  • 사이트의 정보가 탭이나 확장 섹션 등으로 숨겨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이미지의 사용 시 alt 태그를 사용해야 한다. 
  • 페이지 로드 시간 최적화

위의 글 작성 포인트 이외에도 시스템적으로 설정이 필요한 다양한 기준이 있으나 글을 작성하는 작성자가 할 수 있는 것들만 우선 정리해보았다. 

 

좀 더 자세한 가이드는 구글에서 직접 설명해놓은 구글 웹마스터 가이드를 참조할 수 있다. 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docs/advanced/guidelines/webmaster-guidelines?hl=ko

 

위에서 설명한 가이드 중 alt 패스 사용법이나 계층구조, 타이틀 작성 기준 같은 건 따로 페이지를 할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위의 가이드는 어디까지나 구글에서 제공하는 기본 중의 기본이다. 가급적 글 작성할 때 지키려고 노력하자

 

 

댓글